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통합예약
소장품 소장품 보존 재질별 보존처리

재질별 보존처리

  • 가죽 소장품 보존처리

    가죽은 대부분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열·수분·산 등에 의해 손상을 받습니다. 열(Heat)에 장기 노출되거나 급격한 온도 변화를 겪게 되면 공기로부터 물을 흡수하는 능력을 잃어 단단하게 되거나 부서지기 쉬운 상태(Hysteresis)가 됩니다. 산(Acid)에 의해서는 아미노산, 콜라겐 사이 결합이 깨지는 산 가수분해(Acid Hydrolysis) 현상 등 화학적인 열화가 발생됩니다. 이러한 손상을 입은 가죽 소장품의 보존관리를 위해서 최소한의 수분 주입 등을 통하여 적정한 상태로 회복시켜줍니다.

    보존처리 순서

    • 처리 전 조사

      처리 전 조사 이미지
    • 오염물 제거

      오염물 제거 이미지
    • 접착

      접착 이미지
    • 구김완화

      구김완화 이미지

    보존처리 결과

    • 처리 전

      처리 전 이미지 처리 전 - 찢어짐 및 결실, 올풀림, 오염, 부식, 구김, 좌측면 이미지
    • 처리 후

      처리 후 이미지 처리 후 - 정면 이미지

    호갑(종기타202)

  • 지류·직물 소장품 보존처리

    지류·직물은 대부분 유기질 섬유로 구성되어 손상을 입기 쉬운 재료입니다. 국립고궁박물관의 지류·직물 소장품은 전적과 회화, 그리고 복식이 많습니다. 왕실에서 사용하면서 손상된 부분이 약화되지 않도록 조치하는 것이 보존처리의 기본방침입니다. 보존처리 재료는 유물 본래의 형태 및 색감과의 전체적인 조화를 고려하여 선정합니다.

    보존처리 순서

    • 처리 전 조사

      처리 전 조사 이미지
    • 오염물 제거(건식)

      오염물 제거(건식) 이미지
    • 오염물 제거(습식)

      오염물 제거(습식) 이미지
    • 손상부위 보강

      손상부위 보강 이미지

    보존처리 결과

    • 처리 전

      노리개보(창덕7982) 처리 전 이미지
    • 처리 후

      노리개보(창덕7982) 처리 후 이미지

    노리개보(창덕7982)

    • 목판보(창덕8009) 처리 전 이미지
    • 목판보(창덕8009) 처리 후 이미지

    목판보(창덕8009)

    • 누비보(창덕8092) 처리 전 이미지
    • 누비보(창덕8092) 처리 후 이미지

    누비보(창덕8092)

  • 목칠기 소장품 보존처리

    목재는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고 가공이 쉬운 재료입니다. 그러나 목재의 특성 상 건조되면서 형태가 변형되거나 화재, 해충, 온·습도와 같은 여러 요인들에 손상을 받기 때문에 꾸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국립고궁박물관의 목·칠기 소장품 역시 이와 같은 이유로 손상된 것이 많습니다. 또한 왕실이나 관련 장소에서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졌기 때문에 우수한 기법으로 제작하였습니다. 따라서 목·칠기 소장품을 보존처리 할 때는 재료와 제작기법을 고려하여 진행합니다.

    보존처리 순서

    • 처리 전 조사

      처리 전 조사 이미지
    • 세척

      세척 이미지
    • 접합

      접합 이미지
    • 복원

      복원 이미지

    보존처리 결과

    • 처리 전

      정릉재각중건기 현판(창덕20373) 처리 전 이미지
    • 처리 후

      정릉재각중건기 현판(창덕20373) 처리 후 이미지

    정릉재각중건기 현판(창덕20373)

  • 목칠기 소장품 보존처리

    금속은 늘어나고 퍼지는 성질이 좋아 가공이 쉽기 때문에 예부터 공예 재료로 사용되어왔습니다. 그러나 금속은 수분, 염분, 먼지와 반응하여 부식이 생기면 고유의 빛을 잃고 외형이 손상되어집니다. 손상된 금속 소장품은 부식인자를 제거한 후 수지를 주입하여 약화된 부위를 강화시켜 주고, 공기 중의 습기 및 오염가스의 부식인자를 차단해줍니다. 보존처리가 완료된 금속 소장품은 온도 20±2℃, 습도 45%이하에서 보관하여야 재부식 발생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보존처리 순서

    • 처리 전 조사

      처리 전 조사 이미지
    • 세척

      세척 이미지
    • 접합

      접합 이미지
    • 복원

      복원 이미지

    보존처리 결과

    • 처리 전

      진종비 효순왕후 세자빈승통은인(어보215) 처리 전 이미지
    • 처리 후

      진종비 효순왕후 세자빈승통은인(어보215)처리 후 이미지

    진종비 효순왕후 세자빈승통은인(어보215)

  • 도자·옥석 소장품 보존처리

    국립고궁박물관에는 도자기, 유리, 옥, 석재로 만들어진 다수의 왕실문화유산이 있습니다. 특히 유리구슬 발, 유리전등(電燈), 옥으로 만들어진 어보, 옥책, 옥적 같은 쉽게 볼 수 없는 유물이 많습니다. 이 재질의 소장품은 다른 재질에 비해 비교적 안정적일 수도 있지만, 물리적 손상·화학적 성분변화·환경의 영향·과거 잘못된 보존처리 때문에 보존처리가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손상된 유물들이 원형을 회복하고 안정적으로 전시·보관·관리될 수 있도록 가역성이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원래의 유물과 전체적인 조화를 이루도록 보존처리하고 있습니다.

    보존처리 순서

    • 처리 전 조사

      처리 전 조사 이미지
    • 세척

      세척 이미지
    • 접합

      접합 이미지
    • 복원

      복원 이미지

    보존처리 결과

    • 처리 전

      녹유 용무늬 촛대(창덕5322) 처리 전 이미지
    • 처리 후

      녹유 용무늬 촛대(창덕5322) 처리 후 이미지

    녹유 용무늬 촛대(창덕5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