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통합예약

국립고궁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

조선왕실 500년, 그 삶과 마주하다

관람시간

  • 주중·주말

    10:00 ~ 18:00 (수·토요일은 10:00 ~ 21:00)
    ※ 입장 마감은 1시간 전까지

  • 휴관일

    1.1(신정), 1.22 (설날), 9.29(추석)

1

전시실

상설 전시실은 3개의 층, 7개의 전시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시를 감상하시면서 왕실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랍니다.
상설 전시실의 유물들은 더욱 잘 보존하기 위해서 주기적으로 교체됩니다. 더 알아보기

교육 신청

더 알아보기

소장품

국립고궁박물관은 조선왕실과 대한제국황실의 정치, 생활, 예술, 과학 등
역사와 문화를 잘 이해할 수 있는 대표 소장품과 학술정보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조감 이태좌(李台左, 1660~1739년), 조현명(趙顯命, 1690~1752년), 정석오(鄭錫五, 1691~1748년) 등이 영조의 명에 따라 역대 왕의 여러 행적 중에서 교훈이 될 ... 조감 전적 1728년 동각잡기 조선 명종, 선조 때 문신 이정형(李廷馨. 1549~1627년)이 찬술한 야사책으로 조선의 건국 배경부터 선조 때까지의 시기를 다루고 있다. 필사본으로 4책 완질이다. 국외 반출되... 동각잡기 전적 조선 기재잡기 박동량(朴東亮, 1569~1635년)이 임진왜란의 전말을 일기체 형식으로 엮은 책이다. 임진왜란 전후의 정치∙경제∙군사∙사회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평가된다. 이 책은 현... 기재잡기 전적 1658년 국조통기 조선의 역대 사적을 편년체로 쓴 사서로, 필사본으로 10책으로 구성되었다. 왕명, 왕의 언행 등이 주요 내용이며 기타 왕실과 관련된 행사, 의식 등에 관한 사항도 기록하였다. 국외... 국조통기 전적 조선 국조보감 『국조보감』은 조선시대 역대 왕의 업적 가운데 모범이 될 만한 일을 모아 해당 왕별로 편찬한 편년체 역사서로, 이 판본은 헌종대에 82권 26책을 목판본으로 간행한 본이다. 이 책... 국조보감 전적 1848년 지봉유설 조선의 유학자 이수광(李睟光, 1563~1628년)이 편찬한 백과전서로 목판으로 간행하였다. 이 책은 20권 10책 완질로 '金時默印(김시묵인)', '愼而(신이)' 인장을 통해서 ... 지봉유설 전적 1691년 [순원왕후]진찬의궤 1848년(헌종 14)에 대왕대비 순원왕후(純元王后, 1789~1857년)의 육순(六旬)을 축하하기 위해 창덕궁 통명전에서 베푼 잔치행사를 기록한 의궤이다. 행사는 1848년에 있... [순원왕후]진찬의궤 의궤 1848년 황단증수의 1747년(영조 23)에 대보단 의례에 관한 책인 『황단의(皇壇儀)』를 편찬한 뒤, 1749년(영조 25)에 명 태조(太祖)와 의종(毅宗)을 대보단에 함께 제사지내게 되자 그 해 ... 황단증수의 의궤 1749년 황단의 1747년(영조 23)에 영조가 예관(禮官) 등에 명하여 황단(皇壇)[대보단]에 관한 의식 절차 등을 정리한 책으로 상하권 2책이다. 영조가 쓴 서(序)의 책 만든 목적과 경위 등... 황단의 의궤 1748년 황단종향의궤 1822년(순조 22) 5월, 황단(皇壇)[대보단]에 공신을 배향하기 위한 논의 및 의식 등을 정리한 책으로, 명나라 태조 ∙ 신종 ∙ 의종 등 삼황(三皇)의 공신인 서달(徐達),... 황단종향의궤 의궤 1822년

학술정보

소식·행사

더 알아보기
360˚ 온라인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