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소장품
소장품 안내
소장품 안내
-
조선과환보 8권(卷)8책(冊). 1918년 가을에 서병찬(徐丙贊)이 편찬한 조선시대 각 가문별 관력(官歷)의 기록부이다. 금속활자와 목활자가 혼용되었다. 소장인(所藏印)으로 묵인(墨印) 「南...
-
의례문해 4권(卷)4책(冊), 목판본(木版本). 김장생(金長生, 1548~1631)이 문인(門人) 친우(親友)들의 예(禮)에 관한 질문에 답한 내용을 그의 아들 김집(金集, 1574~165...
-
예기집설대전(제1책) 30권(卷)15책(冊), 목판본(木版本). 중국 명대의 학자 호광(胡廣, 1370~1418) 등이 찬정(撰定)한『예기집설대전(禮記集說大全)』을 조선에서 다시 간행한 책이다. 임진자...
-
사례편람(제1책) 8권(卷)4책(冊), 목판본(木版本). 도암(陶菴) 이재(李縡, 1680~1746)가 『주자가례(朱子家禮)』를 중심으로 변례(變禮)를 첨가하여 편저(編著)한 예서(禮書)이다. 춘(...
-
아송(제1책) 8권(卷)2책(冊), 목판본(木版本). 정조(正祖)가 주희(朱熹)의 시문 중에서 도학(道學)의 풍모를 드러내는 글 위주로 선정하여 1799년(정조23)에 간행한 책이다. 사(詞) ...
-
관북빈흥록 3권(卷)1책(冊), 목판본(木版本). 1797년(정조21) 함경도에 지방과장(地方科場)을 개설하여 향시(鄕試)를 보았던 기록을 남긴 책으로 1책만 남아 있는 낙질본이다. 「奎章之...
-
효경대의 1책(冊), 목판본(木版本). 중국 송대(宋代)의 주희(朱熹)가 『효경(孝經)』의 틀린 곳을 바로 잡아 편찬한 책인 『효경간오(孝經刊誤)』에 다시 원대(元代)의 동정(董鼎)이 주석...
-
공부자성적도(제1책) 건곤(乾坤)2책(冊). 목판본(木版本). 공자(孔子) 평생의 행적을 105폭의 그림으로 표현하고 여기에 간단한 설명을 붙인 책이다. 1905년(광무9) 3월에 황성동구내 감인소(皇...
-
정충장공실기 건(乾)1책(冊), 목활자본(木活字本). 선조(宣祖) 때의 무신(武臣) 정운(鄭運, 1543∼1592)의 문집이다. 표제는 정충장공문집(鄭忠壯公文集)이며 표제 아래에 책수(冊數)를...
-
장릉사보 6권(卷) 3책(冊), 목판본(木板本). 조선 제6대 왕인 단종(端宗, 1452~1455)에 대한 사적들을 모아 편집한 책이다. ‘장릉(莊陵)’은 단종의 능호(陵號)이며 강원도 영...
-
통문관관안 1책(冊). 사역원(司譯院) 소속 각 직임들의 명단을 적는 첩(帖)이다. 앞표지에 통문관관안(通文館官案)이라는 표제가 묵서되어 있다. 통문관(通文館)은 사역원의 별칭으로 중국·몽고...
-
통문관안 1책(冊). 1878년 사역원(司譯院) 소속 각 직임들의 명단을 적은 첩(帖)이다. 앞표지에 통문관안(通文館案)이라는 표제가 묵서되어 있다. 통문관(通文館)은 사역원의 별칭으로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