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소장품
소장품 안내
소장품 안내
-
화문능 어보보자기 화문능 어보보자기이다. 겉감과 안감이 두 폭씩 구성되어 있는 겹보자기로 사이에 솜을 두었다. 보자기의 겉감은 큼직한 모란무늬 사이에 넝쿨무늬[牧丹蔓草紋]를, 안감은 절지형의 국화무...
-
어보영자 끈 어보, 보통, 보록 등을 보자기로 쌀 때 묶는 밝은 황색 영자(纓子) 끈이다. 좌연(左撚, 왼쪽 방향으로 꼬음)의 끈 세 가닥을 우연(右撚, 오른쪽 방향으로 꼬음)으로 꼬아 만들었...
-
무문주 어보영자 어보, 보통, 보록 등을 보자기로 쌀 때 묶는 끈인 영자(纓子)이다. 영자의 직물은 어두운 보라색 주(紬)이다. 영자의 한쪽 끝은 직선이고, 다른 한쪽은 절단되었다. ...
-
무문주 어보영자 어보, 보통, 보록 등을 보자기로 쌀 때 묶는 끈인 영자(纓子)이다. 영자의 직물은 갈색 주紬)이다. 영자의 양 끝은 삼각형이고, 청색 술이 여섯 개소에 달려 있으며, 금전지(金箋...
-
무문주 어보영자 어보, 보통, 보록 등을 보자기로 쌀 때 묶는 끈인 영자(纓子)이다. 영자의 직물은 갈색 주(紬)이다. 영자의 양 끝은 삼각형이고, 청색 술이 다섯 개소에 달려있다. 금전지(金箋紙...
-
무문단 어보보자기 무문단 어보보자기이다. 겉감과 안감이 한 폭인 겹보자기로 사이에 솜을 두었다. 보자기의 겉감과 안감은 동일한 직물로 붉은색 단(緞)이다. 보자기의 네 모서리에 금전지(金箋紙)를 두...
-
무문주 어보영자 어보, 보통, 보록 등을 보자기로 쌀 때 묶는 끈인 영자(纓子)이다. 영자의 직물은 어두운 보라색 주(紬)이다. 영자의 양 끝은 삼각형이고, 청색 술이 다섯 개소에 달려있다. 금전...
-
어보영자 어보, 보통, 보록 등을 보자기로 쌀 때 묶는 끈인 영자(纓子)이다. 영자의 직물은 어두운 보라색인 변형평직의 견직물이다. 영자의 양 끝은 삼각형이고, 청색 술이 한 개소에 달려 ...
-
무문주 어보영자 어보, 보통, 보록 등을 보자기로 쌀 때 묶는 끈인 영자(纓子)이다. 영자의 직물은 보라색 주(紬)이다. 영자의 양 끝은 삼각형이고, 금전지(金箋紙)를 두른 녹색 술이 두 개소에 ...
-
운보문단 어보보자기 운보문단 어보보자기이다. 겉감과 안감이 한 폭인 겹보자기로 사이에 솜을 두었다. 보자기의 겉감과 안감은 동일한 직물로 구름무늬 사이로 방승(方勝)·서각(犀角)·전보(錢靌)·서보(書...
-
무문주 어보보자기 무문주 어보보자기이다. 겉감과 안감이 두 폭씩 구성되어 있는 겹보자기로 사이에 솜을 두었다. 보자기의 겉감과 안감은 동일한 직물로 자주색 주(紬)이다. 보자기의 세 모서리에 금전지...
-
화문능 어보보자기 화문능 어보보자기이다. 겉감과 안감이 두 폭씩 구성되어 있는 겹보자기로 사이에 솜을 두었다. 보자기의 겉감은 모란무늬 사이에 넝쿨무늬[蔓草牡丹紋]를 함께 직조한 붉은색 능(綾)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