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소장품
소장품 안내
소장품 안내
회화
화성능행도병풍
華城陵幸圖屛風
-
유물번호
창덕6409 -
연대
19세기 후반 -
재질
견본(비단에 채색) -
크기(cm)
가로 77.5cm, 세로 216.8cm
첨부파일 :

국립고궁박물관이 창작한 화성능행도병풍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제작년도: 19세기 후반
유형: 8폭 병풍
1795년(정조 19) 정조가 어머니 혜경궁(惠慶宮) 홍씨(洪氏)의 회갑을 기념하기 위해 사도세자(思悼世子)의 묘소인 현륭원(顯隆園)이 있는 경기도 화성(華城)에서 개최한 행사 장면을 그린 그림이다. 본래 여덟 장면의 배열순서가 《원행을묘정리의궤園行乙卯整理儀軌》의 도식(圖式) 순서와 일치했으나, 2000년에 보수하면서 행례 순서에 따라 새로 장황하였다. 제1폭 명륜당 참배[華城聖廟展拜圖], 제2폭 과거시험[洛南軒放榜圖], 제3폭 혜경궁 회갑잔치[奉壽堂進饌圖], 제4폭 경로잔치[洛南軒養老宴圖], 제5폭 야간군사훈련[西將臺城操圖], 제6폭 활쏘기와 불꽃놀이[得中亭御射圖], 제7폭 한양으로 돌아오는 행렬[還御行列圖], 제8폭 환궁길 한강 배다리[漢江舟橋還御圖]로 구성되었다. 같은 주제의 병풍이 국립중앙박물관과 삼성미술관 리움에 각 1건, 동국대학교박물관, 일본 교토대학 문학부 박물관, 도쿄예술대학 등에 낱폭으로 소장되어 있다.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화성능행도병풍》 제3폭 <봉수당진찬도>는 다른 소장본들과 달리 화면의 좌우가 바뀌어 있는데 이는 후대에 모사하는 과정에서 화본(畵本)이 뒤집힌 것으로 생각한다.
유형: 8폭 병풍
1795년(정조 19) 정조가 어머니 혜경궁(惠慶宮) 홍씨(洪氏)의 회갑을 기념하기 위해 사도세자(思悼世子)의 묘소인 현륭원(顯隆園)이 있는 경기도 화성(華城)에서 개최한 행사 장면을 그린 그림이다. 본래 여덟 장면의 배열순서가 《원행을묘정리의궤園行乙卯整理儀軌》의 도식(圖式) 순서와 일치했으나, 2000년에 보수하면서 행례 순서에 따라 새로 장황하였다. 제1폭 명륜당 참배[華城聖廟展拜圖], 제2폭 과거시험[洛南軒放榜圖], 제3폭 혜경궁 회갑잔치[奉壽堂進饌圖], 제4폭 경로잔치[洛南軒養老宴圖], 제5폭 야간군사훈련[西將臺城操圖], 제6폭 활쏘기와 불꽃놀이[得中亭御射圖], 제7폭 한양으로 돌아오는 행렬[還御行列圖], 제8폭 환궁길 한강 배다리[漢江舟橋還御圖]로 구성되었다. 같은 주제의 병풍이 국립중앙박물관과 삼성미술관 리움에 각 1건, 동국대학교박물관, 일본 교토대학 문학부 박물관, 도쿄예술대학 등에 낱폭으로 소장되어 있다.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화성능행도병풍》 제3폭 <봉수당진찬도>는 다른 소장본들과 달리 화면의 좌우가 바뀌어 있는데 이는 후대에 모사하는 과정에서 화본(畵本)이 뒤집힌 것으로 생각한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