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통합예약
소장품 소장품 안내

소장품 안내

앙부일구
앙부일구
앙부일구

과학기기

앙부일구

仰釜日晷

  • 유물번호

    창덕12944
  • 연대

    조선시대
  • 재질

    금속
  • 크기(cm)

    지름 35.2cm, 높이 18cm
  • 지정현황

    보물

첨부파일 :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국립고궁박물관이 창작한 앙부일구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청동으로 만든 반구형의 해시계이다. ‘솥 모양의 해시계’라는 뜻으로 앙부일구라고 불렸다. 앙부일구는 해그림자를 받는 시반(時盤)과 해그림자를 나타내는 영침(影針)이라는 바늘로 이루어졌다. 안쪽 바닥 시반에는 은입사로 시각선을 그렸고, 영침은 북극을 향해 비스듬히 세워져 있다. 시반의 왼편에는 동지부터 하지[겨울 → 여름], 오른편에는 하지부터 동지[여름 → 겨울]까지의 24절기가 13줄의 가로선으로 새겨져 있다. 동지에는 해그림자가 가장 길고 하지에는 가장 짧으므로 영침의 그림자는 동지에 가장 바깥쪽 계절선에, 하지에는 가장 안쪽 계절선에 위치한다. 시각선은 해가 뜨는 묘시[(卯時), 5~7시)]부터 해가 지는 유시[(酉時), 17~19시]까지 7개가 있으며, 각 시각선 사이에는 1각[약 15분]을 뜻하는 8등분 된 선이 그려져 있다. 세종대에 처음 만들어져 사람의 통행이 많은 서울 혜정교(惠政橋)와 종묘 남쪽거리에 설치하였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