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통합예약
소장품 소장품 안내

소장품 안내

고궁5_정조어필행서서간.jpg

고문서

정조어필행서서간

正祖御筆行書書簡

  • 유물번호

    고궁5
  • 연대

  • 재질

    종이에 먹
  • 크기(cm)

    세로: 41.5, 가로: 62.0

첨부파일 :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국립고궁박물관이 창작한 정조어필행서서간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제작년도: 1798년

정조가 당시 승지로 있으면서 함흥에 갔다 돌아온 이익운에게 보낸 편지로 추정된다. 이익운(李益運, 1748~1817)의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계수(季受), 호는 학록(鶴鹿)으로, 채제공(蔡濟恭)의 문하에서 공부하였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 길에서 상경하느라 무척 피곤할 터인데 여전히 잘 지내고 있는가? 오늘 함경도 관찰사를 파직한 사안은 활인서 제조 파직에 따른 사사로운 일이라 할 수 있다. 대체로 친분이나 인정으로 미루어 볼 때 좌의정 채제공은 한쪽 편을 드는 면밀함은 없을 듯한데, 아침 강론[朝筵]에서의 행동거지를 보면 이미 나에게 답변한[回啓] 동료 재상을 마치 질책하듯 면박하고, 동료 재상 또한 스스로 인정하는 뜻으로 관찰사를 걸고 들어갔으니 이상한 일이 아닌가? 얼마 전에 석(晳)의 말을 들어보니 “조가[(曺家), 조윤정(曺允精)]가 좌의정에게 간절히 부탁한 적이 있다.”라고 말한 바 있지만 어찌 선입견을 위주로 그리 하였겠는가? 그 옳고 그름을 따지자면 조가(曺家)가 지고 신가[(申家), 신대윤(申大尹)]가 이겨야 할 터인데, 갑자기 신(申)이 유배되는 지경에까지 이르렀으니 알 수 없는 일이다. 비록 위화도의 간청을 들어준 사안을 말하더라도 선혜당에서 여러 사람을 통해 전달한 말에 따라 허락하였고, 선혜당에서 거조[(擧條), 임금에게 아뢰는 조항]까지 제시하기에 소채[(小蔡), 채홍리(蔡弘履)]에게 물어보았더니 모르는 일이라고 하였다. 소채는 이러한 일에 감히 관여하지 못하여 그러한 것인가? 언제쯤 승정원(承政院)에 들어오려는가? 윤음[(綸音), 훈유문서] 한 통을 등사해 보낸다. 조지[(朝紙), 기별(奇別)]는 아마도 잘못 쓴 곳이 많을 터이니, 이것을 여러 남인들과 돌려보는 것이 어떻겠는가? 의리가 분명함에 관해서는 앞서의 전례(典禮)와 동일하다. 알겠는가? 이만 줄인다. 정동에 즉시 전한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