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소장품
소장품 안내
소장품 안내
조각
영조 어필각석
英祖御筆刻石
-
유물번호
창덕6702_앞면 -
연대
-
재질
미정질 대리암(회색) -
크기(cm)
세로: 29.5~32.3, 가로: 23.3~25.8, 두께: 4.3~5.0
첨부파일 :

국립고궁박물관이 창작한 영조 어필각석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제작년도: 영조 20년(1744)
백성을 가르치는 기본 원칙인 육덕(六德)과 육행(六行) 그리고 육예(六藝)를 쓴 것이다. 육덕은 지(知)·인(仁)·성(聖)·의(義)·충(忠)·화(和)이다. 육행은 효(孝)·우(友)·목(睦)·인(婣)·임(任)·휼(恤)이다. 육예는 예(禮)·악(樂)·사(射)·어(御)·서(書)·수(數)이다.
육덕육행육예
백성을 가르치는 기본 원칙인 육덕(六德)과 육행(六行) 그리고 육예(六藝)를 쓴 것이다. 육덕은 지(知)·인(仁)·성(聖)·의(義)·충(忠)·화(和)이다. 육행은 효(孝)·우(友)·목(睦)·인(婣)·임(任)·휼(恤)이다. 육예는 예(禮)·악(樂)·사(射)·어(御)·서(書)·수(數)이다.
육덕육행육예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