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조각
군복용 용문 목판
軍服用龍紋木板
-
유물번호
창덕7722 -
연대
조선시대 -
재질
나무 -
크기(cm)
지름: 18.6~18.9cm, 높이: 7.1cm
첨부파일 :

국립고궁박물관이 창작한 군복용 용문 목판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왕의 전복(戰服) 보(補)에 자수를 놓을 때 사용하던 목판이다. 문양을 찍을 때 상하구분이 용이하도록 손잡이 위쪽에 '상(上)'자가 음각되어 있다. 가슴과 어깨에 용보가 부착된 왕의 군복차림은 철종어진(창덕6364)에서 볼 수있다.
원형 목판에 화주(火珠)를 가지고 구름 사이를 노니는 오조룡(五爪龍)이 정면을 응시하는 형태로 전보(錢寶) 등의 보배문양과 함께 양각되어 있다. 목판 손잡이에 '무슐신조군복 흉견화판' 이라는 묵서가 있어 등과 어깨 부분에 사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원형 목판에 화주(火珠)를 가지고 구름 사이를 노니는 오조룡(五爪龍)이 정면을 응시하는 형태로 전보(錢寶) 등의 보배문양과 함께 양각되어 있다. 목판 손잡이에 '무슐신조군복 흉견화판' 이라는 묵서가 있어 등과 어깨 부분에 사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