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도자기
세종 태지석
世宗 胎誌石
-
유물번호
능원16-1 -
연대
1601년 -
재질
석제 -
크기(cm)
세로: 21.9cm, 가로: 21.6cm, 두께: 3.5cm
첨부파일 :

국립고궁박물관이 창작한 세종 태지석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제작년도: 1601년
태지석은 태실에 태항아리를 묻을 때 함께 묻은 것으로 태의 주인과 태어난 때, 태를 묻은 때를 새겨 넣은 돌판이다. 오석(烏石)으로 만들어진 이 지석은 임진왜란 후 1601년(선조 34) 경남 사천 곤명의 세종대왕 태실을 고칠 때 새로 만든 것이다. "세종대왕 태실 황명만력이십구년 삼월 이십이일 개장(世宗大王胎室皇明萬曆二十九年三月二十二日改藏)"이라 쓰여 있다.
태지석은 태실에 태항아리를 묻을 때 함께 묻은 것으로 태의 주인과 태어난 때, 태를 묻은 때를 새겨 넣은 돌판이다. 오석(烏石)으로 만들어진 이 지석은 임진왜란 후 1601년(선조 34) 경남 사천 곤명의 세종대왕 태실을 고칠 때 새로 만든 것이다. "세종대왕 태실 황명만력이십구년 삼월 이십이일 개장(世宗大王胎室皇明萬曆二十九年三月二十二日改藏)"이라 쓰여 있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