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도자기
인종 태항아리(외항아리 몸체와 뚜껑)
仁宗 胎壺(內壺)
-
유물번호
능원22-4/ 능원22-5 -
연대
1521년 -
재질
도자기 -
크기(cm)
입지름: 21cm, 밑지름: 18.7cm, 높이: 48cm
첨부파일 :

국립고궁박물관이 창작한 인종 태항아리(외항아리 몸체와 뚜껑)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제작년도: 1521년
조선 12대 임금 인종(재위 1544~1545년)의 태항아리로 조선 전기 왕실 백자 태항아리의 가장 발달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풍만하고 긴 몸체에 맑은 담청색(淡靑色)의 백자유(白磁釉)가 곱게 발라져 있으며 어깨에 끈을 묶기 위한 4개의 고리가 달려 있고, 뚜껑의 꼭지에도 역시 4개의 구멍이 뚫려 있다. 함께 묻힌 태지석에는 1515년(중종 10)에 태어난 인종의 태가 세자가 된 후 1521년(중종 16) 안장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인종대왕 태실은 경북 영천군 청통면 은해사 뒤편 태실봉에 있다.
조선 12대 임금 인종(재위 1544~1545년)의 태항아리로 조선 전기 왕실 백자 태항아리의 가장 발달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풍만하고 긴 몸체에 맑은 담청색(淡靑色)의 백자유(白磁釉)가 곱게 발라져 있으며 어깨에 끈을 묶기 위한 4개의 고리가 달려 있고, 뚜껑의 꼭지에도 역시 4개의 구멍이 뚫려 있다. 함께 묻힌 태지석에는 1515년(중종 10)에 태어난 인종의 태가 세자가 된 후 1521년(중종 16) 안장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인종대왕 태실은 경북 영천군 청통면 은해사 뒤편 태실봉에 있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