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어보
인종비 인성왕후 세자빈책봉 은인
仁宗妃 仁聖王后 世子嬪冊封 銀印
-
유물번호
종묘13583 -
연대
1524년(중종19) -
재질
금속 -
크기(cm)
세로: 8.7cm, 가로: 8.6cm, 높이: 9.3cm
첨부파일 :

국립고궁박물관이 창작한 인종비 인성왕후 세자빈책봉 은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제작년도: 중종 19년(1524)
인문내용: 王世子嬪之印
인(印)은 왕세자 · 왕세자빈 등에게 올리는 것이다. 단, 어보와 관련된 제도가 완전히 정착되지 못한 조선 초에는 왕비나 왕대비에게 인을 올린 사례가 있다.
중종 19년(1524) 3월 5일 인종비 인성왕후가 왕세자빈에 책봉되면서 받은 은인이다. 소현세자빈 은인으로 잘못 알려져 있었으나 소현세자빈이 인조 24년(1646) 폐출되어 사사되면서 그가 받았던 교명, 죽책, 어보 등은 모두 불태워졌으므로 현존할 수 없다. 또한 일제강점기인 1924년에 이왕직에서 제작한 《종묘 영녕전 책보록宗廟 永寧殿 冊寶錄》 등에 인성왕후의 은인이 존재한다고 기록되어 있어 이 은인이 인성왕후의 것으로 추정된다.
인문내용: 王世子嬪之印
인(印)은 왕세자 · 왕세자빈 등에게 올리는 것이다. 단, 어보와 관련된 제도가 완전히 정착되지 못한 조선 초에는 왕비나 왕대비에게 인을 올린 사례가 있다.
중종 19년(1524) 3월 5일 인종비 인성왕후가 왕세자빈에 책봉되면서 받은 은인이다. 소현세자빈 은인으로 잘못 알려져 있었으나 소현세자빈이 인조 24년(1646) 폐출되어 사사되면서 그가 받았던 교명, 죽책, 어보 등은 모두 불태워졌으므로 현존할 수 없다. 또한 일제강점기인 1924년에 이왕직에서 제작한 《종묘 영녕전 책보록宗廟 永寧殿 冊寶錄》 등에 인성왕후의 은인이 존재한다고 기록되어 있어 이 은인이 인성왕후의 것으로 추정된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