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통합예약

창덕궁 대조전 벽화
창덕궁 대조전 벽화
창덕궁 대조전 벽화
창덕궁 대조전 벽화
창덕궁 대조전 벽화
창덕궁 대조전 벽화

궁궐

창덕궁 대조전 벽화

昌德宮大造殿壁畵

  • 유물번호

    창덕23431(봉황도), 창덕23432(백학도)
  • 연대

    1920년
  • 재질

    비단에 채색
  • 크기(cm)

    각 폭 가로: 578cm, 세로: 214cm
  • 지정현황

    국가등록문화유산

첨부파일 :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국립고궁박물관이 창작한 창덕궁 대조전 벽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창덕궁 대조전 내부 벽면을 장식한 그림이다.
대조전은 왕과 왕비의 생활공간인 내전 영역에 있으며
, 순종황제 부부의 침전 공간으로 사용된 건물이다. 1917년 창덕궁에 발생한 화재로 소실된 전각을 외형은 전통식으로 내부는 서양식으로 절충해 재건하는 과정에서 1920년 대조전의 동서벽에 화조화인 봉황도와 백학도를 벽화로 장식하였다. 
동쪽 벽 <봉황도>(창덕23431)는 오일영(吳一英, 1890~1960, 당시 31)과 이용우(李用雨, 1904~1952, 당시 17)가 함께 그렸는데 10마리의 봉황과 바위, 폭포, 모란, 오동나무 등을 화려히 표현해 왕실 생활공간에 어울리게 했다.
서쪽 벽의 <백학도>(창덕23432)는 김은호(金殷鎬, 1892~1979, 당시 29)가 그린 그림으로, 16마리의 백학과 소나무, , 구름, , , 영지(靈芝), 모란 등의 십장생(十長生)을 표현했다.



<봉황도>(창덕23431), 동(東 <백학도>(창덕23432), 서(西). 창덕궁 대조전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