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통합예약

북궐도형

궁궐

북궐도형

北闕圖形

  • 유물번호

    고궁2341
  • 연대

    1907년경
  • 재질

    종이에 필사
  • 크기(cm)

    가로: 280cm, 세로: 432cm

첨부파일 :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국립고궁박물관이 창작한 북궐도형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북궐도는 경복궁의 모습을 배치평면도의 형태로 나타낸 건축그림이다.
도형 내에 접혔던 흔적이 있는 것으로 보아 원래 화첩으로 제작되어 있던 것을 펼쳐 배접한 후 두루마리 형태로 만든 것으로 생각된다. 「북궐후원도형」도 함께 제작되어 연결해서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연결 부위에 좌우로 각각 '북(北)'과 '궐(闕)'을 써넣었다.
경복궁 궁내를 1/200 축척의 방안 위에 10~11mm 간격의 붉은 실선으로 구획하고, 그 위에 경복궁 내의 모든 건물을 평면도 형식으로 그린 뒤, 각 건물의 명칭과 평면, 구성, 각 실의 용도를 표기하였다. 제작 시기는 대한제국 시기인 1905년에서 1908년 사이로 추정된다.
일제강점기에 대부분의 건물이 철거되기 직전의 경복궁 내 전각의 배치와 모습을 알 수 있어 경복궁 복원의 근거자료가 되고 있다. 북궐도형동궐도형과 함께 조선왕조 궁궐의 전모를 모눈종이 위에 평면도로 그려낸 배치도로서, 조선시대 제작된 도형 가운데 최대 걸작이다.

관련 소장품 : 북궐후원도형 고궁2342. 북궐후원도형은 경복궁의 후원영역의 모습을 그린 그림으로, 북궐도형과 서로 연결하여 경복궁 전체의 모습을 알 수 있도록 그린 그림이다. 북궐후원도형과 북궐도형은 연결되는 부분의 좌우에 두 장의 그림을 위 아래로 놓고 겹쳐서 좌측에 '북(北)', 우측에 궐(闕)'을 써 넣어 한 쌍임을 표시하여 서로 연결하여 볼 수 있도록 하였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