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통합예약

경우궁도

궁궐

경우궁도

景祐宮圖

  • 유물번호

    고궁2338
  • 연대

    1824년
  • 재질

    종이에 채색
  • 크기(cm)

    가로: 452.8cm, 세로: 222.3cm

첨부파일 :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국립고궁박물관이 창작한 경우궁도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순조(純祖,재위 1800~1834)의 생모 수빈 박씨(綏嬪朴氏, 1770~1822)의 사당인 경우궁(景祐宮) 일대를 그린 그림이다
수빈 박씨의 신주는 본래 창경궁 내의 전각에 봉안되어 있었는데, 1824(순조 24) 한성 북부 관광방(觀光坊) 계동[(桂洞), 현 종로구 계동]에 새로이 별묘(別廟)를 지어 옮겼다. 경우궁이라 부르게 된 이 사당은 이후 1837(헌종 3)에 창덕궁 주합루에 있던 순조 어진 2본과 익종 어진 3본을 모셔오면서 어진 봉안처의 역할도 하였다
조선후기 궁중행사도에 많이 사용된 평행사선구도로 건물을 그리고, 중심이 되는 정당(正堂) 권역만 화면의 중앙 하단에 정면부감법(正面俯瞰法)으로 그린 점이 특징적이다
경우궁 영건 기록인 현사궁별묘영건도감의궤의 기록을 통해 1824년에 제작됐음이 확인되었다



경우궁도 세부

관련정보